압록강의 창 방문을 환영합니다
세계 따오기 수 1만마리 근접... 중·한·일 3국 우호교류의 '매개체'
  • 发布日期:2022-12-1 13:06:52
  • 发布人:신화통신

图片

섬서성 양현 룡정진의 한 밀림 속에서 한쌍의 성체 따오기가 새끼를 지키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상서로운 새', '동쪽의 보석'이라는 아름다운 별명을 가진 따오기는 1980년대부터 중국의 우정을 싣고 섬서에서 일본과 한국으로 보내져 정착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적으로 1만마리 가까운 개체수를 가진 따오기는 이제 중·한·일의 우호 교류를 돕는 '사자(使者)'가 됐다.


당쌍인 섬서성림업국 국장은 최근 '따오기와 아름다운 세계-인간과 자연의 생명공동체 구축과 중·한·일 협력 세미나'에서 섬서성내 따오기 개체수가 1981년 최초 발견 당시의 7마리에서 2021년말 7천여마리로 증가했다며 중국 전체의 87%, 전 세계의 77%를 차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섬서성은 한국과 일본에 루적 8차례에 걸쳐 따오기 14마리를 수출했고 두 나라는 루적 1천마리 이상의 따오기를 번식시키는 데 성공했다며 "따오기의 력사적인 터전을 복원하는 것이 중·한·일 3국의 공통된 염원"이라고 덧붙였다.

图片

따오기와 백로가 지난 9월 10일 섬서 한중시의 논 우를 날고 있는 모습. (사진/신화통신)


국가림업초원국의 통계에 따르면 1981년 5㎢(제곱킬로미터)도 되지 않았던 중국 야생 따오기의 서식지 면적은 현재 1.6만㎢까지 확대됐다. 중국은 40여 년 동안 따오기 극소개체군 보호, 인공 사육·번식, 질병·전염병 예방·통제, 야생화 및 방사 등과 관련한 기술적 문제를 극복하면서 세계적인 따오기 보호 연구의 과학적 고지가 됐다는 평가다.


이유진 한국 경남 창녕군 우포따오기과 주무관은 영상을 통해 중국이 2008년과 2013년 두차례에 걸쳐 한국에 따오기를 한쌍씩 기증했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창녕군에 위치한 따오기센터에서는 따오기 458마리를 번식시켰고 6차례에 걸쳐 야생 방사를 진행했다. 지금까지 240여마리의 따오기가 자연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2021년 방사된 따오기의 첫 자연 야생 번식이 이뤄졌다.


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은 따오기는 이제 단순한 새가 아니라 중·한·일 3국이 함께 생물다양성과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징이 됐다고 말했다.


图片

상해시인민대외우호협회·섬서성인민대외우호협회·섬서성림업국·상해시림업국이 지난 12일 상해에서 중·한·일 우호교류행사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사진/신화통신)


호카리 요이치 일본 니가타현환경국 따오기보호센터 소장은 올해 8월말까지 루적 569마리의 따오기가 일본에서 야생화 방사에 성공했다는 반가운 소식이 담긴 포럼 영상을 전했다.


김승호 주상해한국총령사는 환경보호가 세계적인 협력이 필요한 과제라고 강조하면서 따오기를 보호하려는 한·중·일 3국의 노력은 이미 국제사회의 협력 모델이 됐다고 말했다.


구발천 중일한3국협력사무국 사무총장은 영상을 통해 "오늘날 따오기는 중·한·일 협력의 마스코트가 됐고, 3국간 소통과 리해 증진, 공감대 형성, 신뢰 강화의 명함이 됐다"고 말했다.


图片

관람객들이 12일 '따오기와 아름다운 조화의 집'이라는 주제로 열린 유화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상해시인민대외우호협회·섬서성인민대외우호협회·섬서성림업국·상해시림업국은 '따오기와 아름다운 세계-인간과 자연의 생명공동체 구축과 중·한·일 협력 세미나'를 공동으로 주최하고, 중·한·일 우호교류행사의 일환으로 상해에서 '따오기와 아름다운 조화의 집' 유화전을 개최했다.